지난 일주일 뉴욕상업거래소의 브렌트유 가격 그래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2일, 장중 배럴 당 92.38달러까지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10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. <br /> <br />왜 이렇게 오르는 걸까요? <br /> <br />최근의 급등세는 엄청난 홍수 피해를 입은 리비아와 관련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가 2만 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될 만큼 심각한 피해가 있었는데, <br /> <br />이 여파로 주요 석유 수출항 4곳도 폐쇄됐습니다. <br /> <br />리비아는 하루 평균 백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는 국가인데, 매일 이만큼씩 공급이 줄어들고 있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사우디와 러시아가 감산 방침을 내놓을 때까지만 해도 배럴당 90달러 안팎 정도를 유지할 거다, 이런 분석이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리비아 사태에, 경제 상황이 점차 나아지고 있는 유럽과 중국에서 석유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라 백 달러까지 치솟는 것 아니냐, 이런 전망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경제도 여파를 피하기 힘듭니다. <br /> <br />휘발윳값 추이 그래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6월 2천 원을 넘긴 뒤 하락하다가 1년 만에 다시 급등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서울 주유소 평균 휘발윳값 리터당 1,850원에 육박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기름값뿐만 아니라 모든 생활물가가 다 오를 거라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연말까지 이런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는 예상이 지배적이어서 당분간 서민들의 시름은 더 깊어질 걸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의 분석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: 결국 초점은 에너지 가격이 얼마나 오를 것이냐. 100달러 아래로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, 다른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올라가게 된다고 하면 물가지수 상승 폭이 커지게 되고 이것이 결국 근원물가지수 상승 폭까지 이어질 수 있거든요.] <br /> <br />[이인철 / 참조은경제연구소장 : 한두 달 정도 시차를 두고, 품목에 따라 조금 다릅니다.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10월 이후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8~9월에는 3%지만 10월 이후에는 한 2%대로 안정될 것이라고 얘기를 하고 있는데 불안요인이 너무 많아졌어요. 일단 국제 유가 불안 요인도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밖인 데다가 정부가 2개월 연장했던 유류세 인하 조치가 10월 말에 끝나요. 이게 지금 세수 부족 때문에 당장 끝내야 되는데 추가 연장해야 돼요.] <br /> <br />앵커 : 엄지민 <br />자막뉴스 : 이선 <br /> <br />#YTN자막뉴스 #국제유가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9141619497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